모히톡 베이지팩 업로드 방법 (feat.플러스팩과 베이지팩 차이점)
본문 바로가기

IT 모바일/프리랜서가 돈 버는 법

모히톡 베이지팩 업로드 방법 (feat.플러스팩과 베이지팩 차이점)

728x90
반응형

 

모히톡 베이지 팩 업로드 방법

 

모히톡 이모티콘 이모티콘 작가로 활동 중이다.

 

이모티콘 만드는 방법이 있다. 플러스팩과 베이지팩이 있다.

 

두 가지 팩의 차이점을 알려주겠다 호로록!

플러스팩 작성 방법 

 

플러스팩은 쉽다고 하지만 플러스팩도 은근히 어렵다.. 정말 어렵다 .. 승인 나기 까지 무한한 시간이 흘렀다 무려 한달 반 정도?

 

태그가 잘못 되었다-> 다시 제출하라-> 다시 그렸다 -> 콘텐츠 가이드 미준수이다->알겠다->승인! 

 

 

 

 

플러스팩은 베이지 팩과 달리 24개 이상의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 이미지 파일은 500 KB 이하의 618 이미지로 제작해야하고 배경은 투명으로 해상도 72DPI를 지켜야 한다. 제작 가이드 참고해야 하고 승인이 날 경우 보라색 테두리, 수정이 필요하면 노란색 테두리가 난다.

 

모히톡이 쉽다는 사람들이 있다는데, 결코 쉬운 이모티콘이 아닙..니두으,.. 아그작 

 

카카오와 다른 점 영어와 다른 나라 언어로 작성해야 함 

 

팩 키워드는 영어와 숫자로 최대 10개까지 입력가능하며 키워드 사이의 공백은 최대 2번까지 입력이 허용 가능하고 은근 졸라 까다로움..

 

베이지 팩이랑 다른 점 플러스팩의 스티커 업로드는 몇개? 

베이지 팩은 그림 하나만 가능하지만 플러스팩은 그림 하나만 제출하려고 하면 최소 24개 이상 그리라고 재촉한다.

따흑규ㅠㅠ 

 

그래서 이것도 승인이 나야한다

 

플러스팩 그리기 싫을 때는 어떻게 하지 -> 베이지 팩으로 그려!

 

플러스팩 그리기 싫을 때는 베이지 팩 그리면서 작업했다. 움직이는 스티커는 은근히 시간 잡아 먹었다는 거에 놀랐음 하루 순삭이 아니고.. 한달 순삭...?

 

거의 이것만 해야 할 판이었다 다른 거 못함..ㅂㅂ 

 

그림을 그리면 여러 파일 선택해서 파일을 끌어다가 추가하면 된다

 

업로드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간혹 업로드 오류 뜰 수 있으니 확인 잘하기 스티커 팩이 제출되었습니다 심사 결과는 심사가 끝나면 메일로 전송이 되는게 일반적, 탈락 이유도 알 수 있어서 제일 좋음

 

모히톡을 꾸준히 사용하는 이유!  

 

우리나라에 말고도 타 플랫폼, 그림 그리는 거는 해외에 많이 있다.

 

 

미승인 사유 알려줌, 신뢰도 UP 

 

결과적으로는, 가장 큰 이유는 미승인 사유-> "왜죠?" 납득 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다시 도전하면 그래도 시간 지나도 승인은 해주기 때문이다. 

 

 

카오톡, 오지큐는 넘사벽..라인 ... 있지만... 뭐 방치중이고 ... 

 

 

 

 솔직히 잘 안쓰는게 일반적이긴 하며 오히려 내 이모티콘이 해외 진출하면 괜찮을 거 같기도 해서 모히톡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색적인 플랫폼이 돋보였다. 

 

 카카오톡 이모티콘 도전하다가 세월 흐르면 아깝기도 하고 모히톡으로 그림 실력 쌓고 '블로그에 올리면 괜찮을 거 같은데' 생각이 들어, 모히톡을 애용하고 있다. (본 받거라 타 플랫폼이어...) 

 


베이지팩으로도 도전하고, 플러스팩도 도전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