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 노동자들은 어떻게 살아가는 가 "레포트"
본문 바로가기

대학생활

이주 노동자들은 어떻게 살아가는 가 "레포트"

728x90
반응형

이주 노동자는 어떻게 살아가는 가

교수들은 가끔 우리들을 골탕먹이려고 이상한 과제들을 주는게 아닌건가 싶을 정도의 과제를 줄 때가 많았다.


어떤 영상을 시청하면 좋을까 싶어서 선택한게, 바로 다큐영상이였다.  과제하는 것도 솔직히 이제는 조금 지쳐질려고 했다. 
 
너무 똑같은 주제가 반복되기 때문인 것도 많았고 대학교 4년제 2년제 반복되었기 때문이다. ㅠ0ㅠ 내가 쓴 잔머리 교수도 납득할 수 없는 것을 보고 과제를 쓰자..ㅎㅅㅎ 그럼뭐 분량을 채워서 꾸역꾸역 쓰면 되겠지 하고 일단 제출했고, 양식에 맞게만 썼다. 대학생들 화이팅 
 

 이주 노동자들은 어떻게 살아가는지 알아가기 위하여 다큐 멘터리를 보는 게 낫다고 판단하여 EBS 이주 노동자 다큐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필자는 타지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습니다. 예전의 저는 이 영상을 보기 전에 '아, 내가 제일 힘든 곳에서 일했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영상을 다 본 후에는 어떻게 달라졌는지, 솔직한 감상과 느낌만을 글로 적어 작성하겠습니다.
 


"외국인 친구들 없으면 공장 운영 못 합니다."
 
한센인 다큐 멘터리를 보기 전에는 한센인이 무엇인지도 몰랐습니다. 한센인들은 아무것도 없는 허허벌판에 농사를 짓고 닭과 개들을 키우며 살았다고 합니다. 집이라곤 그저 움막집이 전부였다고 합니다.
 
그들은 열심히 살려고 노력하지만, "한센병 환자"라고 하여 멀리서 밥을 던지고 무시하고 조롱하였다고 합니다. 그와 더불어 아직도 이주노동자들에게는 참 혹독한 댓글이 달립니다 "불법 체류자는 신고해야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꿈 그들도 사람입니다


이들이 과연 불법 체류자가 될 줄 알았을까요


1960년대, 영국에서 온 천갈로라는 신부님이 4만 평의 규모의 땅을 매입하여 한센인들이 스스로 독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고 합니다. 1980년대 들어 이 마을은 공단으로 탈바꿈하였습니다.

싼 임대료를 찾아 이곳으로 모여든 가구 공장 덕분에 마석은 국내 최대의 가구단지로 불리며 급성장하였다고 합니다.
 
한센인들은 마석을 떠났지만, 그 빈자리를 외국인 노동자들이 지켜주었다고 합니다.

코로나가 닥치기 전까지는 이만한 일자리가 없었다고 하는 그들에게는 소중한 일터라고 합니다.
 
오히려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은 공장에 일이 많이 없으니까 더 힘들다고 합니다. 급여가 100만 원밖에 안 되기 때문입니다. 즉, 열심히 먹고 살아야 하고 가족들에게도 용돈을 보내야 하는데 100만 원으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죠
 
하지만, 그들은 일이 없는 날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사장님이 가르쳐주는 것이 많아서 그만두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한국 노동자는 구할 수도 없고 인건비는 오르고, 이주 노동자를 고용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한때 내가 제일 힘든 곳에서 근무했던 적이 있다고 서두에서 언급했던 적이 있습니다.


"왜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국인 노동자를 뽑을가요?" 에 관한 질문입니다..

외국인 노동자를 뽑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이 힘들어서 금방 도망가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그러면 회사 경영이 어려워지고 공장 운영도 힘들어집니다.
 
그러나, 외국인 노동자들은 정부에서 붙잡을 수 있습니다. 비자 값을 금방 지불할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외국인 노동자를 선호하는 것입니다.

또한, 사고가 나도 모른 채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일은 극히 드물지만 외국인 노동자를 해외에서 더 선호하는 이유는 그것입니다.
 
나라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 한다고 하면, 기숙사뿐만이 아니라 더 좋은 복지제도를 이용해서 고용해야하는 것이 아니냐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하면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기숙사복지제도는 엉망인 곳도 있고 속아서 일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이주노동자와 외국인 근로자가 있기에 우리가 지금 편안히 살고 있다는 것을 한 번쯤은 우리는 다시 한번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끝으로 이주 노동자의 대우


이주노동자들은 이탈율이 실제로 높습니다. 그 원인 분석이 무엇일까요?

급여 문제도 피할래야 피할 수 없을 것 같아보입니다

현실은 이주 노동자는 급여와 생계 때문에 옵니다.

보통 한국어 실력도 변변치 못하고 시골 쪽으로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건 정부에서 조사해보아야 겠습니다만  급여가 적으면 이주노동자들도 한국에서의 삶이 힘들겠지요...


728x90